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시그날링 서버 (Signaling Server)란 무엇인가??
    Study/WebRTC 2025. 4. 13. 13:52
    반응형

    저번 webRTC 전체 흐름에 이어 오늘은 시그날링 서버(Signaling Server)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고자함.

     

     

     

     

     

     

    시그날링서버가 뭘까?

    peer to peer가 연결되기전에 먼저 선행해야 되는게 시그날링 서버와의 연결이 선행되어야함.
    시그널링 서버는 피어 간 직접 연결이 설정되기 전에 필요한 정보를 중계하는 중간자 역할 을 함.
    예를들어, 설명을 하면 농산물을 직거래하기전 어떤 농수산물을 파는지, 신선한지, 가격이 얼마인지 등
    구매자와 농부가 서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메신져 역할을 하는 것을 시그날링서버가 하는 역할임.
    그렇다면 webRTC에 연결전 시그날링 서버에서 어떤 흐름으로 메세지를 주고 받는지 아래 그림 참고.

     

     

     

     

     

     

     

    (1) 각각의 peer 가 시그널링 서버에 접속 함.

    (2) 각각의 peer 가 접속이 되면 A peer에서 연결시도 버튼을 눌렀을때 SDP오퍼를 생성해서 B peer에

    SDP오퍼 전송

    (3)SDP 오퍼를 받은 B peer는 SDP 응답을 생성하여 요청을 보냄 A peer에게 답장을 보냄.

    (4)응답을 받은 A peer는 ICE후보를 수집하여 다시 정보를 B peer에게 보냄.

    (5)ICE후보정보를 받은 B peer 또한 ICE후보를 수집하여 A peer에게 보냄.

    (6)서로의 ICE정보를 확인후 연결을 시도 하는 과정 중에 적절한 연결 후보를 발견하면 그걸로 연결을 시도하여

    연결이 되면  두 피어 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음.

     

    오늘은 webRTC에서 중요한 역할인 시그날링서버가 하는 역할과 어떤 흐름으로 연결을 진행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음.

    다음번에는 ICE후보 에서 STUN 과 TURN 서버에 대해서 알아보겠음. 

     

    반응형

    'Study > WebR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도 이해 가능한 WebRTC 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4.12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