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Server
-
초보자를 위한 서버에 tomcat 업로드 후 실행시켜보기Study/Server 2023. 9. 26. 17:36
회사에서 프론트니 백이니 구분없이 일을 하는데 요글래는 거의 프론트 및 퍼블 업무만 받아 하다가 선임으로 부터 업무지시가 떨어짐 "이번에 서버를 새로 구축해야 되는데 tomcat을 깔아보고 개발한 소스를 그위에 올리도록!" 헛...스프링부트를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이미 내장되어 있어서 tomcat을 깔아본경험이 없을것이고, 이클립스를 쓰는 사람이라면 손쉽게 버튼 몇번만 누르면 연결이 되서 local에서 써봤을텐데... 나와 같은 업무지시를 받은 마와같은 초보자 신입을 위하여 글을 써본다. 넘 서론이 길었지만....go... 1.JAVA 서버에 깔려 있는지 먼저 확인 tomcat을 까기전에 먼저 java가 깔려 있는지 확인 해야함. 참고로 서버 접속 터미널?! 로는 MobaXterm 을 사용하고 있고 os는..
-
초보자도 간단하게 이해하는 CORS 개념과 아주쉬운 해결방법Study/Server 2023. 4. 12. 11:50
개발을 하다가 많이들 부디치는 문제인 CORS 문제!!! 선배들한테 CORS에 대해서 주워 듣기는 했는데, 막상 CORS문제를 만나니 머리가 아프다 ㅠ 어렵지만 웹 개발자로써 꼭 알고 가야할 에러이기에 이번 기회에 한번 정리해보기로 하자! 먼저 에러메세지를 보자 Acess to XMLHttpRequest at 'http://파일IP:85/file/20160007/' from origin 'http://localhost:8080'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 1.상황 인사모듈을 개발중인데 개발하고 있는 local 컴퓨터 -> 웹에서 다른서..
-
localhost 뭐고?? 127.0.0.1 은 또 뭐고?? 192.168.0.1 ?? 다 같은거라는 데???Study/Server 2023. 3. 21. 23:24
오늘 선임이랑 얘기하다가 localhost ip로 접속해 보라고 해서 넹??localhost가 ip가 따로 있나여?? 하고 동공지진 @_@ 그래서 신입이나 이 업계에 들어오신 분들 은 헷갈릴수 있으실거 같아 정리겸 포스팅 함 먼저 localhost가 뭐인지 부터 궁금할것이다! 보통 인터넷을 이용 할때 아래와 같이 사용자가 요청을 보내면 네트워크를 타고 서버에 갔다가 응답을 가지고 다시 되돌아가는 과정을 거쳐 인터넷을 사용 할 수 있다! 사용자(client) 네트워크 server 그렇다면 개발자는 웹을 개발하여 테스트 할때마다 위와 같이 컴터 2대를 갖추고 네트워크도 설치하여 테스트를 진행 해야 될까?! 그러면 좋겠지만 개발자는 돈도 시간도 효율적이게 쓰고싶어한다! 그래서 우리의 선배 ..
-
Rest 넌 뭐니??Study/Server 2022. 12. 16. 23:07
스프링을 배우면서 Rest방식??Rest API?? @RestController 등...Rest에 대해서 많이 들어 봤을것이다. 나도 공부 하면서 많이 들어 봤지만 들었을때는 아하! 하고 알지만 또 까묵.... 그래서 다시한번 정리 해본다. 1.Rest방식이 나오게된 배경 과거 웹 애플리케이션이 주가 되던시절 서버의 데이터를 소비하는 주체는 오직 '브라우저'라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만 있었고, '브라우저'가 소화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HTML이라는 형태로 전달하고, 브라우저는 그저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만을 해왔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모바일이 우리생활과 밀접해 '앱' 이라는 데이터 소비 주체가 생겨나면서 보이는 화면 역시 자신만의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게 되면서 점점 서버에게 순수한 데이터만을 요구하게 되었..
-
Session 이란?Study/Server 2022. 12. 15. 16:03
1.Session은 왜 생성하지? HTTP프로토콜의 특징중 Connectionless (요청을 했을때 응답을 보낸 후 바로 연결을 끊는 방식), Stateless(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방식, 즉 ,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데이터를 유지 하지 않는다) 두가지의 특징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이 나왔음. 2.그렇다면 cookie와 Session 뭐가 다르지? cookie는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떤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웹사이트쪽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저장하여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방문했던 사이트에 재방문시..
-
네트워크 망에 따른 분류Study/Server 2022. 12. 15. 11:25
외부망 DMZ 내부망 업무망 1-1.외부망 위에 표에서는 인터넷을 외부망으로 보면 되는데 내부망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Local Area가 아닌 전지역을 의미하며 인터넷이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구간을 말한다. 1-2.DMZ 웹서비스,메일서비스,DNS 등 외부에 서비스를 운영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open되어야 하는 well-known port가 있는데 이 포트를 통하여 공격을 당해 내부자원을 탈취 및 훼손 등을 당할 수 있어서 예방하고자 내부 외부 중간에 DMZ 망을 둠으로써 외부에서 내부망으로 들어오는 IP를 접근을 제한 하는 역할을 합니다. 1-3.내부망 일정한 조직(회사내) 내부 네트워크을 통해 자원을 공유하거나 내부 솔루션을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